■ 진행 : 박석원 앵커, 엄지민 앵커
■ 출연 : 반기성 YTN 재난자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10A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폭설 상황 전문가와 함께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반기성 YTN 재난자문위원 나와 있습니다.어서 오십시오.
[반기성]
안녕하세요.
[앵커]
애초 예상은 최대 8cm 예상했었던 것 같은데 두 배를 훌쩍 넘습니다. 20cm 쌓였는데 왜 이렇게 많이 내린 겁니까?
[반기성]
일단 강설 예보는 어렵습니다. 그것부터 말씀드리고. 어제 기상청이 서울 등 중부지방 쪽으로, 특히 서울 쪽으로 3~8cm 정도 예상을 했습니다. 최대한 많이 내리는 곳을 10cm까지 봤는데. 현재 서울도 거의 20cm 이상 내렸고 특히 이틀 동안 이렇게 많은 양이 올 것으로 봤는데 내일까지 온다면 강설량은 한 앞으로도 10~20cm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거든요.
그런 상당한 오차가 있는 건데. 이렇게 오차가 커진 가장 큰 이유는 일단 어제 프론트가 빠져 나왔죠. 전선이 빠져나가고 그 뒤에 시베리아고기압이 확장해 나오면 대개 해상 쪽에서 해기차로 만들어진 눈구름이 만들어집니다. 바다 온도와 공기의 온도 차로 만들어진 눈구름이 만들어져 들어오는데 대개 시베리아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서울까지 눈이 많이 오는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왜냐하면 대개 북서풍을 타고 들어오니까 충남이나 전라, 제주 쪽만 대기 폭설을 내리는데. 이번에는 상당히 독특하게 수도권으로 해서 강원도까지 들어갔거든요. 서풍을 타고 들어왔거든요. 이건 뭐냐 하면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약간 골이 만들어진 거예요, 잘 나타나지 않는 골이. 이 골이 만들어지다 보니까 북쪽 공기와 남쪽 공기의 온도 차가 있다 보니까 더 불안정해진 측면이 있다. 사실 이건 예상하기가 어려웠는데 그런 측면이 있고요.
두 번째는 기온이 좀 높지 않습니까? 시베리아고기압이 내려오는데도 지금 현재 0도 전후다 보니까 더 많은 수증기를 함유할 수 있었고. 세 번째, 서해 해수온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높다 보니까 더 많은 수증기를 공급해 줬던 것이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눈이 내리게 된 거라고 봅니다.
[앵커]
서울에 이렇게까지 많이 내린 적이 최근 몇 년 동안 없었죠?
[반기성]
가장 최근이 2010년 1월 4일에 내린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 25.8cm가 내렸는데 제가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서울 같은 경우는 20cm 이상 이렇게 정말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는 아주 굉장히 드뭅니다. 예전에 적설, 많이 오면 강설로 했는데. 최근에는 신적설, 그러니까 눈이 50cm가 오더라도 현재 관측소에 눈이 녹아서 쌓여 있는 것만 관측을 하거든요, 신적설. 신적설로 할 때 1956년부터 5번 발생했더라고요. 20cm 이상이. 그러니까 14년에 한 번 정도 대개 발생을 하는 건데 그러니까 2010년에 발생했으니까 2024년, 이번에도 14년 만에 발생한 것이죠. 굉장히 드뭅니다.
[앵커]
오늘 새벽부터 이미 많이 상당히 쌓였었는데 서울시가 제설대책 2단계로 격상한 게 오전 7시입니다. 거의 출근길 초입이 됐을 때였는데 늦은 거 아닙니까?
[반기성]
상당히 늦었죠. 제가 오늘 YTN 방송국 오느라고 집에서 자가용을 안 갖고 나오고 버스를 타고 나왔는데 4시 약간 넘었었는데. 그때도 이미 서울에 10cm 이상 눈이 내렸거든요. 그런데 하루에 5cm 이상이면 대설주의보입니다. 특히 수도권 같은 데 5cm 이상만 내려도 교통대란이 발생하거든요.
그래서 제가 어제도 YTN 출연해서 말씀을 드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411271030430118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